SSH 란?
- Secure Shell
-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
- 기존에 사용하던 텔넷은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아 보안이 취약했었고 이를 보안하기 위해 나옴
작동 원리
- client와 server가 각각 키를 보유하고 있고, 이를 활용하여 서로를 인증하고 주고 받는 데이터를 암호화
-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키를 가지고 있는 client와 server가 아니라면 원본 내용을 볼 수 없음
- key를 생성하는 방식
- 비대칭키( = keyPair<공개키, 개인키> ) : 접속 시도 시 client와 server가 서로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됨
- 대칭키 : 비대칭키로 인증과정을 거쳐 접속이 허용된 상태에서,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 받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에 사용
(+) 자세한 접속 및 데이터 통신 과정은 아래 링크 참고
[공부] SSH (Secure Shell) : 기초 및 심화 개념
*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 SSH 기초 1. SSH란? Secure Shell = 보안 셸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. 과거에 주로 사용되던 Telnet은 암호화가 이
www.cho-log.io
SSH로 Host 에서 가상머신으로 접속하기
1. SSH 설치 및 설정
apt install openssh-server # 보통 설치되어 있음
vim /etc/ssh/sshd_config # openssh 설정 파일
# sshd_config - server, ssh_confing - client
# /etc/ssh/sshd_config
Port 4242 # ssh 서버에서 사용하는 포트 4242로 지정
PermitRootLogin no # ssh를 통해 root에 원격으로 로그인 할 수 없도록 설정
systemctl restart ssh # ssh 재시작
systemctl status ssh # ssh 상태 확인
2. 포트포워딩
- 외부 IP, port 와 내부 IP, port 를 연결해주는 과정
- host의 IP와 guest(가상머신)의 IP주소 구하기
- virtual box > 설정 > 네트워크 > advanced > port forwarding 으로 들어가기
- 추가 버튼을 눌러 host ip, host port 번호, guest ip, guest port 번호 입력
( guest port는 ssh와 ufw에서 허가된 포트 번호여야 함 ) - host의 터미널에서 접속
# IP 구하기
ip addr # local ip addr => host IP
hostname -I # VM IP => guest IP
# host 터미널에서 ssh로 가상머신 원격 접속하기
ssh <username>@<host_IP> -p <host_port>
(+) 포트포워딩 개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
포트 포워딩이란?
과거에는 집에 보통 컴퓨터 한 대만 사용하고 스마트폰이 없었기 때문에 인터넷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모뎀만 있으면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. 최근 들어서는 가족 구성원 한
lamanus.kr
'포트 포워딩' 왜 하는 걸까? 🌐
모르고 쓰던 포트 포워딩! 왜 하는 걸까?
velog.io
(+) 참고
https://library.gabia.com/contents/infrahosting/9002/
가비아 라이브러리
IT 콘텐츠 허브
library.gabia.com
'4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rn2beroot] ufw (0) | 2023.01.16 |
---|---|
[born2beroot] LVM (0) | 2023.01.16 |
[born2beroot] 비밀번호 정책 설정 (0) | 2023.01.16 |
[born2beroot] sudo 정책 설정 (0) | 2023.01.16 |
[born2beroot] APPArmor (0) | 2023.01.16 |